정보보안

🧾 Windows 로그온 타입(Logon Type) 설명과 예시 정리

후추멍멍이 2025. 6. 27. 13:38
728x90

“이 사용자는 어떻게 로그인한 걸까?”
Windows는 사용자의 로그인 방식에 따라 **로그온 타입(Logon Type)**을 구분합니다.
보안 로그를 분석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기본 개념입니다.


✅ 들어가며

Windows 이벤트 로그를 보다 보면
Logon Type: 2, Logon Type: 10 같은 숫자들을 본 적 있으신가요?

이 숫자들은 단순한 코드가 아니라,
“어떤 방식으로 로그온(접속)”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보안 정보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**Windows의 대표적인 로그온 타입(Logon Type)**을
실제 사용 예시와 함께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

🔐 로그온 타입(Logon Type)이란?

Windows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할 때,
로그온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(Logon Type)를 부여합니다.

이 정보를 통해 보안 관리자는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:

  • 이 사용자는 로컬에서 로그인한 것인가?
  •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한 것인가?
  •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공유만 사용한 것인가?

📌 로그온 타입은 이벤트 로그(예: 4624, 4625 등)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
로그인 성공/실패, 접근 경로 분석의 핵심 단서로 사용됩니다.


📋 주요 로그온 타입 정리

Logon Type 설명 실제 예시

2 로컬 인터랙티브 사용자가 PC에서 직접 로그인 (Ctrl+Alt+Del)
3 네트워크 파일 공유, 프린터 접근 등 네트워크를 통한 로그인
4 배치 예약 작업, 백업 스크립트 등 자동 실행 작업
5 서비스 Windows 서비스가 자동 실행될 때
7 잠금 해제 화면 보호기 해제 등 세션 재사용
8 네트워크 명명된 파이프 일부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내부 통신
9 새 자격 증명 기존 로그인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(예: RunAs)
10 원격 데스크톱 (RDP) 원격에서 PC로 접속 (mstsc.exe 사용)
11 캐시된 인터랙티브 도메인 환경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없을 때 로컬 캐시 로그인
12 ~ 14 터미널 서비스 관련 고급 서버 환경에서 세션 분리/병합
15 명시적 자격 증명 자격 증명을 명확히 지정한 인증 상황 (보통 드묾)

🧠 자주 등장하는 로그온 타입 집중 설명

🔸 Logon Type 2: 로컬 로그인

  • 실제 PC 앞에서 사용자가 직접 로그인한 경우
  • 보안상 비교적 안전한 로그인 방식
  • 💡 키보드, 마우스를 사용하는 "인터랙티브"한 방식

🔸 Logon Type 3: 네트워크 로그인

  • 파일 공유 서버에 접근, 원격 프린터 사용 등
  • 주로 내부 네트워크에서 발생
  • 공격이 아닌 정상적인 동작에서도 자주 발생함

🔸 Logon Type 5: 서비스 계정 로그인

  • Windows 서비스가 시스템 시작 시 자동 실행될 때 사용
  • 사용자 로그온이 아닌 시스템 동작으로 발생

🔸 Logon Type 10: 원격 데스크톱(RDP)

  • 가장 민감한 로그온 타입 중 하나
  • 외부 또는 내부에서 원격으로 PC에 접속
  • 기업에서는 이 유형의 접속을 철저히 통제 및 모니터링해야 함

🔎 로그 분석 예시

이벤트 로그 4624 항목 중 일부:

Subject:
  Security ID:  S-1-5-21-...
  Account Name: userA

Logon Type: 10

이 경우, userA가 원격 데스크톱(RDP)을 통해 로그인한 기록입니다.


🛡️ 실무에서 왜 중요한가요?

  • 보안 이상 징후 탐지:
    원래는 Logon Type 2만 발생하는 환경인데, 갑자기 10번(RDP)이 나타난다면?
  • 내부 사용자 행위 감사:
    누가 언제 어떤 방식으로 접속했는지 확인 가능
  • 서비스 계정 오용 방지:
    Logon Type 5를 통해 불필요한 서비스 자동 실행 여부 점검 가능

📌 정리 요약

용도 참고할 로그온 타입

PC 앞에서 로그인 2 (로컬)
파일 공유, 내부 네트워크 접근 3 (네트워크)
예약된 작업, 자동 실행 4 (배치), 5 (서비스)
원격 데스크톱 10 (RDP)
도메인 없는 환경의 임시 로그인 11 (캐시)

✍️ 마무리하며

로그온 타입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,
접속 방식과 보안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입니다.

보안 담당자가 아니더라도,
기본적인 의미를 알고 있다면 이벤트 로그를 보는 눈이 달라집니다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