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] 문제 정리 1
- 단답형 문제 정리
- MRTG
=> 네트워크 링크 트래픽 모드 모니터링 및 측정 (무료SW)
- IP 스푸핑
=>망 외부 공격자가 허용 가능한 범위의 IP 주소 이용 / 허가받은 외부 IP 주소 이용하여 허가받은 사용자 인 것 처럼 행동 -> 사내망에 대한 특정 자원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이 사용자에게 허용하려 할 때, 공격자는 마치 기업망 접속을 허가받은 원격 사용자인 듯 위장할 수 있다.
- SSH
=>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또는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
- history -c
=> 히스토리 기록 삭제 명령어
- 더미허브
=> 장치의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를 알지 못하므로 A가 B로 신호를 보낼 때 허브에 연결된 모든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 - 스위칭허브
=> 장치 내부 메모리에 각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를 테이블에 기록함, A가 B로 신호를 보낼때 A로부터 받은 신호를 B에게만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
- ip route [netIP] [subnet-mask] [인터페이스 IP]
=> 정적 라우팅 설정 명령어
- 루핑
=> 목적지 경로가 2개 이상 발생했을 때,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양쪽 스위치를 멤도는 현상
- STP
=> 루핑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
- L2F, PPTL, L2TP
=> VPN 프로토콜 중 데이터링크 2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
- 라우터
=> 스위치와 스위치를 연결하는 장비, 서로 다른 상호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기
- A클래스 = 8, B클래스 = 16, C클래스 = 24
=> A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 8
B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 16
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 24
- 라우터
=> OSI 네트워크 계층, 호스트의 최적 경로를 설정하는 장비, LAN-LAN 또는 LAN-WAN 연결
- VLAN
=> 소프트웨어로 LAN 망을 구분하는 기술
- 이더넷 포트
=> 내부 네트워크 LAN 접속 포트, 내부 허브 또는 스위치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
- 시리얼 포트
=> 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포트, DSU/CSU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, WAN 포트
- 클러스터링
=> 여러 대의 서버를 서로 연결하여 거대한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이게 하여 외부에서는 마치 하나의 서버처럼 작동하도록 서로 연결됨
- 피싱
=> 불특정 다수의 이메일 사용자에게 신용카드나 은행 계좌 정보에 문제가 발생해 수정이 필요하다는 거짓 이메일을 발송해 가짜 웹 사이트로 유인하여 관련 금융 기관의 신용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를 빼내는 해킹 기법
- 파밍
=>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DNS를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해하도록 유인하여 개인정보 탈취하는 해킹 기법
- 루프 방지
=>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이유
- S/MIME
=> PKI 기반, 전자우편 암호화 및 디지털 서명 기능 제공
- VPN
=>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하고 회선 비용을 크게 절감하게 해주는 기업 통신 서비스, 엑스트라넷, 인트라넷
- SSL
=>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
- ARP, RARP, ICMP, IGMP
=> Network 계층 프로토콜
- WEP
=> 유선랜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보안과 프라이버시 수준을 제공하는 무선랜 프로토콜
- Telnet
=> 23번 포트, 패킷이 암호화되지 않음
- SSH
=> 22번 포트, 패킷이 암호화되어 전송됨
- DMB
=> 이동 중에도 개인 정보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CD, DVD 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 시청 가능
- DDNS
=> 유동 IP 주소를 고정 IP 주소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시스템
- Gateway
=> OSI 7에서 서로 다른 모든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기
- IDS 침입 방지 시스템
=> 유해 트래픽 차단
- 포트 미러링
=> 특정 포트로 들어온 패킷을 다른 임의의 포트로 copy, 스위칭 허브에서 사용
- PLC
=> 전기가 공급되는 전역선 위에 데이터를 얹어 보내는 디지털 통신 기술
- 홈 게이트웨이
=> 가정 내 네트워크와 가정 외 네트워크 간 상호 접속을 중재하는 장치
- CSMA/CA
=> 무선 환경, 충돌 회피 프로토콜 (유선=> CSMA/CD)
- DMZ
=> 방화벽이 설정된 네트워크에서 외부에 노출되어야하는 서버들의 네트워크 지역
- 와이브로
=> 휴대전화처럼 이동하면서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, 휴대전화와 무선랜 중간 영역에 위치
- 랙
=>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등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제 프레임
- 핫 스왑
=> 대형 라우터 기능에서 전원이 켜져있는 상태에서 모듈 교체가 가능하게 하는 기능
- 슈퍼넷
=> 넓은 범위의 호스트 IP를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으로 설계하여 보다 많은 주소를 사용하는 방법
- NAT
=> IP 주소 사용 낭비 방지, 내부적으로 사설 IP 주소를 설정하여 사용하다가 외부에 접속할 때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는 기술
- Shell
=> Linux, 사용자나 운영 프로그램이 내린 명령을 해석하고 이해한 후 운영체제에 전달하는 역할의 프로그램
- 스테커블 스위치
=> 여러 대가 스택으로 연결되었을 때 훨씬 좋은 성능을 냄
- 레이드
=> 여러 대의 하드 대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하여 저장하는 방법
- OFDM
=> 수백 개의 반송파를 사용하는 다반송파 변조 방식, 디지털 변조
- 봇넷
=> DDoS, 좀비 PC 간의 네트워크
- 홈 PNA
=> 가정 전화선을 이용해 2대 이상의 컴퓨터가 서로 공유되도록 하는 네트워킹 솔루션
- RAID 1
=> 디스크 미러링, 각 드라이브를 동시에 읽어 읽기 성능이 좋지만, 쓰기 성능은 단일 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와 같다
- 라운드 로빈
=> 서버 로드 밸런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
- 듀얼 스택
=> IPv4와 IPv6을 함께 사용하는 장비
'자격증 > 네트워크 관리사 2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제02회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합격 (0) | 2022.05.24 |
---|---|
[네트워크관리사 2급] 응시 후기 (0) | 2022.05.16 |
[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] 1번 RJ45 케이블링 (0) | 2022.05.13 |
[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] 라우터 문제 정리 (0) | 2022.05.13 |
[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] 2022년 2월 27일 오답풀이 (0) | 2022.05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