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ISMS-P 인증심사원 시험, 기출문제가 공개되지 않아 불안하시죠?”
아래는 인증기준 안내서·법령·실무 사례 기반으로 구성한 필기 예상문제 10선입니다.
시험 전 실전 감각을 익히고, 자주 나오는 개념을 정리해보세요.
🧠 예상문제 10선 (객관식 / 해설 포함)
1. 다음 중 ISMS-P 인증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A.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
B. 보호대책 요구사항
C. 개인정보 처리 단계별 요구사항
D. 서비스 품질 기준
[정답] D
📌 ISMS-P는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로, 서비스 품질은 포함되지 않음.
2. 다음 중 ‘접근통제’에 해당하는 기술적 보호조치는?
A. 방화벽 정책
B. 백업 시스템
C. 망 분리
D. DLP 설정
[정답] A
📌 접근통제에는 인증, 권한 부여, 네트워크 접근 통제(예: 방화벽)가 포함됨.
3. 개인정보 처리 시 사전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?
A. 사내에서 통계용으로 사용할 때
B. 수탁자에게 위탁하는 경우
C. 법령에 따라 수집하는 경우
D. 내부 직원 간 협업을 위한 공유
[정답] B
📌 개인정보 처리 위탁 시 반드시 정보주체의 동의가 필요함.
4. 다음 중 ‘위험관리 절차’에 포함되지 않는 단계는?
A. 위험 식별
B. 위험 분석
C. 위험 수용
D. 서비스 기획
[정답] D
📌 위험관리는 식별 → 분석 → 평가 → 대응(회피/감소/수용 등)의 순서로 진행됨.
5. 다음 중 인증심사원의 자격 요건으로 옳은 것은?
A. 정보보호경력 3년 이상
B. 총 경력 6년 이상 + 정보보호/개인정보 각 1년 이상
C. 학력 무관
D. 실무교육 면제 시 필기시험 면제 가능
[정답] B
📌 KISA 기준, 자격요건은 총 6년 이상 + 두 영역 경력 필요.
6. 정보시스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보호대책은?
A.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요구
B. 소스코드 취약점 진단
C. 백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
D. 패스워드 복잡도 정책
[정답] B
📌 개발 단계에서의 보호대책은 ‘보안성 검토’와 ‘취약점 진단’ 등이 포함됨.
7. 다음 중 ISMS-P 인증기준의 평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?
A. 실행 가능성
B. 적절성
C. 효과성
D. 완성도
[정답] D
📌 ‘완성도’는 평가 기준이 아니며, ‘적절성’, ‘이행성’, ‘효과성’이 핵심임.
8.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의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A. 내부감사 수행
B. 처리방침 수립
C. 수탁사 관리
D. 보안장비 도입 결정
[정답] D
📌 보안장비 도입은 일반적으로 정보보호책임자의 역할임.
9. ISMS-P 인증심사 시 심사원 교체가 필요한 상황은?
A. 고객 요청 시
B. 이해관계 충돌이 발생할 경우
C. 심사 일정 지연 시
D. 업무량이 많을 때
[정답] B
📌 이해상충 또는 독립성 훼손 시 교체 가능함.
10. 다음 중 가명정보 처리 시 고려사항으로 적절한 것은?
A. 고유식별정보 포함 가능
B. 정보주체 식별 가능성 최대화
C. 처리 목적 외 사용 가능
D. 재식별 방지를 위한 기술 적용 필요
[정답] D
📌 가명정보는 정보주체 재식별이 되지 않도록 기술·관리적 조치를 적용해야 함.
✅ 결론 및 응원
시험 전 마지막으로 실전 문제를 풀어보며 빈틈을 점검하세요.
이 중 6~7문제 이상 맞췄다면, 합격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!
실기 대비도 함께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🙌
🏷️ 태그
#ISMSP #인증심사원필기 #예상문제 #ISMSP기출 #정보보호시험 #개인정보보호자격증 #KISA #시험대비문제 #티스토리수익화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SMS-P 필기시험 요약] 시험 직전 1페이지 핵심 정리 – 이거 몰랐다간 틀린다! (3) | 2025.07.10 |
---|---|
[Linux] RunLevel (0) | 2022.05.18 |
[네트워크관리사 2급] 응시 후기 (0) | 2022.05.16 |
[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] 문제 정리 1 (2) | 2022.05.13 |
[네트워크관리사 2급 실기] 1번 RJ45 케이블링 (0) | 2022.05.13 |